본문 바로가기

전체 글

(115)
내화 구조에 관한 기술 지침 해설 (철골 구조물 내화 기준) - 1 1. 내화 구조에 관한 기술 지침 (KOSHA GUIDE) 2. 목적 및 적용 범위 [해석 - 1] 이 기술지침은 산업안전보건기준에 관한 규칙(이하 “안전보건규칙”이라 한다) 제270 조(내화기준)의 규정 ~ [산업안전보건기준에 관한 규칙 ( 약칭: 안전보건규칙 )] 제270조(내화기준) ① 사업주는 제230조제1항에 따른 가스폭발 위험장소 또는 분진폭발 위험장소에 설치되는 건축물 등에 대해서는 다음 각 호에 해당하는 부분을 내화구조로 하여야 하며, 그 성능이 항상 유지될 수 있도록 점검ㆍ보수 등 적절한 조치를 하여야 한다. 다만, 건축물 등의 주변에 화재에 대비하여 물 분무시설 또는 폼 헤드(foam head)설비 등의 자동소화설비를 설치하여 건축물 등이 화재시에 2시간 이상 그 안전성을 유지할 수 있..
내화 구조에 관한 기술 지침 해설 (철골 구조물 / 파이프랙 내화 기준) - 2 1. 내화 구조의 대상 및 범위 (철골구조물/ 파이프랙/ T-SUPPORT) [해석 - 1] - 다층 구조의 건축물 (STEEL STRUCTURE) - 공통사항 4.1 항 공통사항/ 4.2항 1목 인화성 액체의 증기 또는 가스에 의한 폭발위험장소와 분진에 의한 폭 발위험장소(HAZARDOUS AREA)에 설치하는 모든 건축물은 공통적으로 1) 모든 주 기둥와 보는 내화 구조로 하고, 지상 1층(지상 1층의 높이가 6M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6M까지)까지가 내화 범위임. 단, 석유화학공장 등, 위험물의 보유량이 많거나, 공정압력이 높은 경우, 9M이상까지 고려하여야 함. [해석 - 2] - 다층 구조의 건축물 (STEEL STRUCTURE) - GRATING FLOOR * 높이 상관 없이 열교환기 등이 설치..
내화재료 (FENDOLITE (펜돌라이트)) 분석 1. FENDOLITE (펜돌라이트) FENDOLITE는 Petrochemical(석유화학)을 위한 건축물, 석유화학단지의 Fire-Proof을 위해 특별히 제조된 습식 내화재 1990년에 MANDOVAL사와 생산 및 기술제휴를 체결하였으며 CAFCO를 거쳐 현재 모회사인 PROMAT사의 파트너로서, 한국 내 제조 및 판매는 신성캠택에서 하고 있음 FENDOLITE는 남아프리카산 질석과 조강 3종 시멘트를 주원료로 한 SPRAY 시공에 적합한 제품으로 정유, 석유화학, 가스 플랜트 시설에 대한 내화 시공의 많은 경험을 갖고 있다. FENDOLITE는 비중이 낮아 철골에 하중을 줄여주며 내구성이 높고 충격에 크랙이 가지 않고 부서지지 않는다. 철구조물이나 다른 장치물의 설치전, 후 필요시에 자유롭게 시공할..
볼트(나사) 이론 (고장력 볼트/ KS/ ASTM) 1. 볼트(나사)의 정의 원통이나 원기둥의 외면 또는 내면에 만들어진 단면이 일정한 코일 모양의 돌출부를 나사산(thread)이라 부르고 나사산을 가진 원기둥 전체를 나사(screw thread)라 한다. 또 나사산이 원기둥의 외면에 있는 경우를 수나사(external thread), 내면에 있는 경우를 암나사(internal thread)라 부른다. 이상은 다소 추상적인 형태로 본 정의이나 나사산을 가진 물체를 통틀어 그것이 단체의 부품인 경우는 나사산을 가공한 부분 뿐만 아니라 그 이외의 부분도 포함하여 나사라 부르는 일이 많다. 이 경우는 앞에서 정의한 나사와 구별하기 위하여 나사부품(threaded parts)이라고 부르는 것이 더 타당하다. 나사 부품에 대하여 보조적 성격으로 사용되는 와셔(wa..
볼트 (고장력볼트/ TS볼트/ 너트류) 규격 및 생산/ 시공방법 1. 볼트의 종류 [기본 이론] [종류] 2. 볼트 생산공정 3. H.T.S 볼트 규격 (고장력볼트) 4. T.S 볼트 규격 (토크쉐어 볼트) 5. ASTM 건축용 육각볼트 규격 6. 일반 육각볼트/ 너트 규격 7. 스터드볼트 규격 8. 앵커볼트 규격 9. 기타 볼트 10. 볼트 규격 및 제품 확인 11. 체결방법 [고장력볼트/ TS볼트] * 본 자료는 대우볼트 참조하였습니다.
에폭시수지/ 건축구조물용 내화도료 (KCC 자료) 1. 에폭시란? 에폭시(epoxy) 또는 에폭시 수지는 에폭시드의 구어체 이름이다. 열경화성 플라스틱의 하나로 물과 날씨 변화에 잘 견디고, 빨리 굳으며, 접착력이 강하다. 비스페놀 A와 에피클로로히드린을 중합하여 제조하는 물질로, 대표적인 열경화성 수지이다. 접착제, 코팅, 페인트용제, 전자회로기판 등의 용도로 널리 쓰이며, 경화제를 첨가해야만 열경화성이 발현된다. 일반적으로 아민계 경화제가 쓰이며, 에폭시와 아민이 화학작용을 일으켜서 경화반응을 일으킨다. 그 외에도 아마이드계 경화제나 산무수물계 경화제도 쓰이며, 다양한 경화제로 물성이나 경화온도 등을 조절할 수 있다. [열경화성 플라스틱] 열경화성 플라스틱(영어: thermosetting plastic, thermosetting polymer, th..
이형봉강(KS D 3504) 철근 단위 중량/ 철근 화학 성분 / ASTM 비교 1. 이형봉강(KS D 3504) 철근 단위 중량 2. 철근 포장 테이블 3. 철근 종류 및 화학 성분 4. 철근의 기계적 성질 5. 이형봉강의 길이 허용차 6. 이형봉강의 색 표시/ 무게 허용차 7. KS/ ASTM/ CSA/ BS 비교
관거 유량계산 유출계수 • 유출계수 - 유역내의 토질․식생․건폐율, 도로율, 포장율 등을 감안하여 하수도시설 기준 의 토지이용도별 기초유출 계수와 총괄유출계수 적용 - 본 사업지구의 유출계수는 투수면이 많은 지역을 감안 0.5적용 표 면 상 태 유 출 계 수 표 면 상 태 유 출 계 수 지 붕 0.85~0.95 공 지 0.10~0.30 도 로 0.80~0.90 잔디,수목이 많은 공원 0.05~0.25 기타 불투수면 0.75~0.85 경사가 완만한 산지 0.20~0.40 수 면 1.00 경사가 급한 산지 0.40~0.60 ※ 참고) 하수도 시설기준(환경부 1998.2 p63) 토 지 이 용 도 유출계수 부지내에 공지가 아주 적은 상업지역 또는 유사한 택지지역 0.80 침투면의 야외작업장, 공지를 약간 가지고 있는 공장지역 또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