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분류 전체보기

(115)
우수관 산정 건축물 설계시 우수수직관 및 우수수평관의 사이즈 및 개수를 산정시 그 기준을 제시하고자 한다. 국가건설기준중 우수배수설비 설계기준 KDS 31 30 35 : 2016에서 그 기준을 제시하고 있다. 우수배수설비 설계기준 KDS 31 30 35 : 2016 4.4 우수관의 관 지름 선정 4.4.1 관 지름 기준 옥내 우수 수직관과 옥외 우수 수직관, 부지 우수배수, 부지 하수 및 이들 배수관의 모든 수평 지관의 크기는 그 지역의 기상자료에 의한 시간최대강우량을 기준으로 한다. 4.4.2 우수 수직관 지름 옥내외 우수 수직관의 관 지름은 표 4.4-1의 최대 수평투영 지붕 면적으로 선정한다. 표 4.4-1 원형 옥내외 우수 수직관 관 지름 수직관의 관 지름 (DN)1) 수평투영 지붕면적 (m2) 강우량(mm/..
접합부 설계 - 존재응역설계, 전강도 설계법 1. 존재응력설계방법 계수하중에 의해 접합부에 발생되는 존재응력을(휨모멘트, 전단력, 축력 등) 소요강도로 설계하는 방법 존재응력설계법은 계산상으로는 안전한 설계방법이나 존재응력이 작은 곳에서 접합부가 설계되는 경우가 있기 때문에 존재응력을 소요강도로 사용하면 접합부가 부재의 약점이 되어 부재 전체의 강 성이 감소할 수 있다. 따라서 존재응력설계법으로 설계를 하는 경우 존재응력과 다음의 전강도설계법에 의한 부재설계강도의 50% 중 큰 값을 소요강도 로 하여 설계한다. [강구조 설계 기준 발췌] ① 접합부에 작용하는 응력을 설계응력으로 하는 방법이다. ② 계산상으로는 안전한 설계법이나 존재응력이 작은 곳에서 접합부가 설계되는 경우가 있기 때문에 존재응력을 설계응력으로 사용하면 접합부가 부재의 약점이 되기 ..
H형강 기둥 배치 방법(강축, 약축, 강축방향, 약축방향 이해) [강축] 1. H형강의 강축은 H자를 영문 I자로 놓고 볼 때, 수평축이 강축 2. 강축을 기준으로 상하 방향의 휨에 대한 저항이 크다는 의미 3. 플랜지가 압축, 인장에 대한 정 항력이 크고, 이 두 힘의 조합이 휨 (전단에 대한 저항은 웹 부분) [철골 기둥의 강축 방향 설정] 1. 건물의 평면상의 장변과는 관계가 없음 2. 철골조 건물에서 수평하중은 전단벽이 부담, 수직하중에 의해, 철골기둥의 강축 방향을 결정하게 됨. [건물 외부 기둥 방향 설계] 1. 건물의 외측 변에 있는 철골 기둥은 내부 측 보에서 발생하는 휨 모멘트와 밸런스를 이룰 건물 외부보가 없으므로, 건축 외부 측에 H형강의 플랜지가 만나도록 설계 [건물 내부 기둥 방향 설계] 1. 기둥에 접합되는 보 중 스팬이 크거나, 집중 하중 ..
[ASTM/EURO]STANDARD MEMBER LIST (철골 부재 사이즈) 1. ASTM STEEL MEMBER LIST [CHANNEL(C-SHAPE)] [H-SHAPE] [ANGLE SHAPE] [I-SHAPE] [T-SHAPE] [PIPE SHAPE] 2. EURO STEEL MEMBER LIST [H-SHAPE] [I-SHAPE] [L-SHAPE] [CHANNEL (C-SHAPE)]
(KS)STANDARD DRAWINGS (BASE PLATE CONNECTION/ H-BEAM/ STEEL MEMBER LIST) 1. BASE PLATE DETAIL (SHEAR CONNECTION) 2. BASE PLATE (MOMENT CONNECTION) 3. STANDARD GAUGE 4. BOLT SPACING 5. CHANNEL SECTION 6. H-SHAPE SECTION 7. ANGLE SECTION 8. CUT-TEE SECTION 9. I-BEAM SECTION 10. MISC. STEEL MATERIAL STANDARD
샌드위치 판넬 건물(횡판넬/ 종판넬) 1. 종판넬 기본 개념도 2. 횡판넬 기본 개념도
건축적산(B.O.M) 용어 및 산정 기준 1. SHORING (흙막이) 밑파기한 부분의 토사가 무너지는 것을 막는 방법이나 그 공작물이다. 기초가 깊거나 또는 토질이 연약하고 지하수가 나올 때는 옆벽이 무너질 우려가 있어서 그 흙의 휴식각에 맞게 경사지어 파거나 또는 흙막이를 한다. 2. BATTER BOARD (규준틀) 보통 수평규준틀과 귀규준틀이 있고, 특히 벽돌이나 돌 등을 쌓을 때는 세로규준틀을 사용한다. 건물의 귀퉁이나 그 밖의 요소에 규준틀을 설치하여 공사를 진행해 간다. 수평규준틀을 설치하기 위해서는 먼저 규준말뚝을 소요 위치에 박고, 각 점의 높이를 측정하여 표시한다. 그 다음에 한 면을 대패질한 수평꿸대(1.2×9.0cm정도의 널재)를 표시된 말뚝 위치에 못을 박아 고정시키고 벽심(壁心)·벽너비·기초너비 등을 기입한다. 그리고 ..
콘크리트 바닥면처리 (하드너/ 에폭시 비교) 1. 콘크리트 바닥재 특성 비교 2. 하드너 제품 및 설명 3. 하드너 두께 4. 시공 단면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