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 전체보기 (115) 썸네일형 리스트형 블록벽체 구조안전확인 속빈 콘크리트 블록으로 쌓은 벽체는 일반적으로 기계·전기실의 칸막이로 주로 시공됩니다. 그 외에도 지하외벽 콘크리트벽체 내측과, 기타 각 실 경계 칸막이로도 시공되기도 합니다. 블록벽체 높이가 큰 경우에는 자체 자중으로 하부에 압축파괴가 발생할 수 있고, 내벽 횡하중에 의해 휨파괴나 전단파괴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또한 수평변위가 과하여 전도될 가능성도 높기 때문에 안전한지 확인할 필요가 있습니다. 그리고 인방보가 있는 경우 충분히 안전한지, 과도한 처짐이 있는지 확인하여야 합니다. 만약 피난경로에 면하는 벽체라면 내진설계(안전확인)을 해야하는 대상에 포함됩니다. 비구조요소 내진설계 대상이 아닌 경우로서 일반적인 블록벽체와 이 벽체 개구부에 설치하는 인방보에 대한 구조안전확인시 고려되어야 하는 내용들에 .. 대규모 건물에서 신축이음(Expansion Joint) 설치간격 건물 콘크리트구조에서 JOINT를 설치하는 경우가 있습니다. 일반적으로 구조실무에서는 크게 세가지 경우에 해당하는 경우에 JOINT를 설계에 반영합니다. 첫째는 건물 규모가 수평방향으로 길거나 넓은 경우, 둘째는 수평증축하는 부분을 원래의 건물과 구조적으로 별개로 하고자 하는 경우, 셋째는 기계 진동이 구조물에 영향을 주지 않도록 기계진동기초 주변에 설치하는 경우입니다. 1. 건물 규모가 수평방향으로 길거나 넓은 경우 철근콘크리트구조로 그 규모가 수평방향으로 길거나 넓은 경우에 콘크리트도 모든 재료와 마찬가지로 온도변화에 따라 팽창과 수축을 합니다. 타설후 양생되는 과정에서 초기에는 수화반응으로 열이 발생하여 팽창하고 수화반응이 침체되면서 수축합니다. 준공후 사용중인 경우에서도 외기온도에 영향을 받는 콘.. 지표면조도와 풍속고도분포계수의 관계 지표면조도는 지표면의 거칠기 상태로서 바람의 속도가 수목이나 건축물의 높이와 밀집상태에 의해 마찰이 생기면서 감소되는 효과를 반영하기 위해 A, B, C, D의 4개 등급으로 구분한 것입니다. 지표면에 수목이나 건축물이 촘촘할수록 바람의 진행을 방해하는 효과가 커서 지표면에서의 풍속도 크게 낮아집니다. 또한 이러한 수목이나 건축물이 높을수록 이 효과는 더욱 커집니다. 이러한 지표면에서 풍속은 가장 낮고 위로 점차 올라갈수록 증가합니다. ■에서와 같이 일정 높이 이하에서는 그 수준에서 가장 불리한 높이 수준에서의 풍속이 동일하게 작용하는 것으로 단순화시킨 일정한 풍속을 설계풍속을 산정하고 있습니다. 이 높이를 '대기경계층 시작높이(zb)'라고 합니다. 지표면조도 A에서는 20m, B에서는 15m, C에서는.. 건축물의 마감 재료 법규 정리 (건축물 마감 재료 관련 법규 - 건축법) 3층 이상 또는 높이 9미터 이상인 건축물 공장, 창고시설, 위험물 저장 및 처리 시설(자가난방과 자가발전 등의 용도로 쓰는 시설을 포함한다), 자동차 관련 시설의 용도로 쓰는 건축물 의 외벽은 "불연, 준불연 마감재료"를 사용해야 한다. 1. 건축물의 마감 재료 규정 (실내 및 실외 마감 재료) 1) 실내 마감 재료 기준 : 건축법 제52조 제1항 2) 실외 마감 재료 기준 : 건축법 제52조 제2항 건축법 [시행 2022. 4. 20.] [법률 제18508호, 2021. 10. 19., 일부개정] 제52조(건축물의 마감재료 등) ① 대통령령으로 정하는 용도 및 규모의 건축물의 벽, 반자, 지붕(반자가 없는 경우에 한정한다) 등 내부의 마감재료[제52조의4제1항의 복합자재의 경우 심재(心材)를 포함한다.. 고정식 사다리 (수직사다리) 설치 및 제작 규칙 (산업안전보건에 관한 규칙) 1. 고정식 사다리의 제작에 관한 기술 지침 (KOSHA GUIDE G-3-2022) * 기존 2019년 기술 지침 중, 불확실하게 기재되어 혼돈을 주었던, 수직사다리의 등받이 울 및 중간 플랫폼 높이가 명확히 됨. 신규 기존 2. 전체 내용 내진설계 : 단주기와 1초주기 설계스펙트럼가속도식에서 2/3의 의미 KDS 41 17 00 「건축물 내진설계 기준」 중, 단주기 설계스펙트럼가속도는 SDS=S×2.5×Fa×2/3 (식 4.2-4), 1초주기 설계스펙트럼가속도는 SD1=S×Fv×2/3 (식 4.2-5)으로 산정합니다. 설계스펙트럼가속도는 재현주기 2400년(정확히는 2475년) 지진위험도로 정의되는 최대예상지진(MCE, Maximum Considered Earthquake)에 대한 유효스펙트럼가속도에 지반 증폭효과 등이 반영된 다주기와 주기1초에서의 응답스펙트럼가속도입니다. S는 2400년 재현주기지진(최대예상지진)의 유효지반가속도. Fa는 지반종류와 S에 따라 KDS 41 17 00 표4.2-1에 의해 결정되는 단주기 지반증폭계수. Fv는 지반종류와 S에 따라 KDS 41 17 00 표4.2-2에 의해 .. 내진설계 : 단주기 설계스펙트럼가속도식에서 2.5의 의미 KDS 41 17 00 「건축물 내진설계 기준」 중, 단주기 설계스펙트럼가속도는 SDS=S×2.5×Fa×2/3 (식 4.2-4), 1초주기 설계스펙트럼가속도는 SD1=S×Fv×2/3 (식 4.2-5)으로 산정합니다. 설계스펙트럼가속도는 재현주기 2400년(정확히는 2475년) 지진위험도로 정의되는 최대예상지진(MCE, Maximum Considered Earthquake)에 대한 유효스펙트럼가속도에 지반 증폭효과 등이 반영된 다주기와 주기1초에서의 응답스펙트럼가속도입니다. S는 2400년 재현주기지진(최대예상지진)의 유효지반가속도. Fa는 지반종류와 S에 따라 KDS 41 17 00 표4.2-1에 의해 결정되는 단주기 지반증폭계수. Fv는 지반종류와 S에 따라 KDS 41 17 00 표4.2-2에 의해 .. 건축물 설계시 필요한 지반조사 건축설계시 지반조사의 필요성, 시추간격, 시추규격, 예외사항, 적정시기 등을 소개합니다. 지반조사를 발주/견적 의뢰하는 건축사사무소에 도움이 되길 바랍니다. 의무사항은 KDS 11 10 10 「지반조사」 기준내용으로 소개합니다. 기준은 국가건설기준센터에서 열람/다운로드가 가능합니다. 필요성 ① 건축물 안정성 확보 연약한 지반인 경우에는 건축물의 사용하중(고정하중+활하중)에 의해 지반이 심하게 침하될 수 있고, 지반이 침하가 과도하면 건축물 안정성에 위협으로 되돌려 받게 됩니다. 시추조사를 통해 심층부까지 토질분포와 저항능력을 확인하면 압밀침하 가능성을 예상할 수 있고, 건축물의 안정성을 위하여 지내력기초 또는 말뚝기초 등 기초설계 형식을 결정할 수 있습니다. ② 내진설계 기초자료 제공 지진이 발생하면 진.. 이전 1 2 3 4 5 6 7 8 ··· 15 다음